5분 투자로 평생 습관을 만드는 방법
서울대. 정말 긴 시간동안 집중력과 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입시 전쟁에서 가장 좋은 성과를 낸 학생들이 가는 곳입니다.
하지만 많은 서울대생들은 서울대에 입학하고 난 후 많은 혼란과 방황을 겪는다고 합니다.
고등학교때는 1등을 도맡아 하던 그들이었지만, 서울대에서는 각 학교의 1등들이 모인 곳이기 때문에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는 것이죠.
그리고 그들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또 한번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수학 문제를 잘 푸는 것과 사회생활을 잘 하는 것은 또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이죠.
공부에 관한 집중력에 있어서는 최고라 할 수 있는 그들이지만 공부 이외에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몇몇의 서울대생들은 '5분만'이라는 습관 공부 그룹을 만들어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행해보았습니다.
도대체 새로운 습관을 갖게 되면 무엇이 바뀌길래 그들은 습관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까지 했을까요?
습관을 들이면 바뀌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습관을 들이는 과정은 작은 성공을 모아 큰 성공을 가져오는 일이다
승자효과라는 말을 아시나요?
승자효과란 한번 승리를 쟁취하고 나면 그 성공의 에너지가 나중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동적으로 발생해 그 이후에도 더 좋은 결과를 맞이하게 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전 세계 복싱의 전설로 자리잡은 마이크 타이슨은 한 때 37전 37승이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폭력범죄로 감옥에서 복역하고 슬럼프를 겪으면서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타이슨의 프로모터는 승자효과를 타이슨에게 적용시켜보기로 했습니다.
아주 손쉬운 상대들을 타이슨의 경기 상대로 둔 것입니다.
그의 첫 번째 복귀 상대는 타이슨이 실력을 발휘할 것도 없었습니다.
타이슨은 89초만에 KO승을 만들었습니다.
두 번째 역시 마찬가지 였습니다.
이렇게 승리의 에너지를 모은 타이슨의 진짜 매치는 세 번째 경기였습니다.
그는 결국 당시 챔피언과의 대결에서 3라운드만에 KO승을 거두면서 완벽하게 왕좌의 자리를 다시 거머쥘 수 있었습니다.
둘째,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어떤 습관을 들이게 되면 그 습관이 쌓이면서 결국 하나의 큰 성과로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매일 조금씩 자격증을 공부하면 '자격시험 합격'이라는 결과물을, 매일 조금씩 운동을 하고 식사 조절을 하면 '다이어트'라는 결과물을, 매일 조금씩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면 '실내 자전거 2,000km 이상 타기'라는 결과물을 선물로 받게 됩니다.
셋째, 습관 들이기에 성공하면 자존감이 강해진다.
한 가지, 두 가지의 습관 들이기에 성공하고 자신에 대한 변화를 이끌면서 더 많은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죠.
그럼 도대체 새로운 습관은 어떻게 나의 몸에 길들일 수 있을까요?
1. 서서히 변화를 이끌어라.
우리 모두 나를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습관을 들이려고 노력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습관 만들기라는 과정이 너무 어려워 포기한 경험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습관을 하루 아침에 바꾸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의 뇌가 변화를 감지하면 그것을 위기로 인식하고 막으려고 하는 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 금연, 운동 등의 습관을 새로 만들려고 하면 우리 몸은 편소에 하지 않던 것들을 하려고
하니 뇌가 위험으로 인식하고 하지말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죠.
그래서 새로운 습관을 들이려면 뇌가 변화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사소한 변화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게 뭐야?'라고 생각될 정도로 아주 작은 변화부터 시작해보세요.
매일 운동을 1시간씩 하려고 하지 말고 매일 팔굽혀펴기 5개 하기 같은 아주 작은 습관부터 시작해보세요.
2. 목표를 설정하되 바로 할 수 있는 습관으로 쪼갠다.
우리가 습관을 들이고 변화를 만드려는 목표는 큰 목표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목표를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습관으로 쪼개야 합니다.
창의력을 발휘해 어떤 상황에서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습관으로 만들어보세요.
5분이면 할 수 있는 습관, 야근을 하고 술을 마셔도 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3. 습관을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우리가 만드는 습관은 일상에 녹아들어야 합니다.
하루 5분만 요가를 하는 습관을 만들려고 하면 옷장을 열어 요가 매트를 빼서 방에 펴놓는 준비과정이 필요합니다.
하루에 턱걸이 10개를 하는 습관을 들이려면 철봉이 있는 곳을 찾아 나가야합니다.
이런 준비 과정들은 습관을 만드는데 큰 장애물이 됩니다.
요가매트를 방 한곳에 펴놓고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게 해보세요.
방문틀에 풀업바를 설치하고 씻기 전에 턱걸이를 해보세요.
습관을 들이기가 훨씬 더 쉬워집니다.
4. 누군가와 함께 습관을 들인다.
습관 들이기는 혼자하면 어렵습니다.
비슷한 목표를 가진 사람끼리 매일마다 사소한 습관을 성취했다는 것을 알리고 피드백 해줄 그룹을 만들어보세요.
거창하게 글을 쓸 필요 없이 자신이 오늘 한 습관만 매일 기록하고 올려도 지나고 나면 큰 기록이 됩니다.
같이 습관을 시작할 수 있는 피드백 그룹을 만들어보세요.
5. 습관을 누적숫자로 관리한다.
숫자는 쌓이면 쌓일수록 더 큰 결과로 나타납니다.
A라는 사람은 12개월 동안 4,224개의 턱걸이를 했습니다.
엄청난 숫자죠?
하지만 막상 계산해보면 하루에 11개를 한 꼴입니다.
매일마다 내가 한 습관을 기록할 때 총 누적 숫자를 기록해보세요.
더 큰 동기부여가 되고 습관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
사소한 반복이 쌓이면서 시간과 친구가 되면 어떤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마인드셋'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고 물건을 사지 않는다. (8) | 2020.03.25 |
---|---|
직장을 다니지 않고 억대연봉 버는 방법, 디지털 노마드 (9) | 2020.03.24 |
상위 1%의 일 잘하는 방법 (0) | 2020.03.22 |
부자의 사고방식, 돈을 낳는 법칙 (2) | 2020.03.21 |
한번 꽂히면 떨어지지 않는, 강력한 메세지를 만드는 6가지 방법 (2) | 2020.03.20 |